티스토리 뷰

카테고리 없음

K패스(알뜰교통카드), 기후동행카드 비교

꿀빠는리뷰 2024. 2. 9. 04:39

요즘 높아져만 가는 물가에 매일 지출되는 교통비가 무척 부담스러우신 분들 많으시죠?

 

 이런 부분을 반영한 듯 24년 국토교통부에서는 대중교통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k-패스 사업을 조기 시행하기로 발표했습니다. 궁금한 'k-패스' 할인 혜택과 또 다른 알뜰교통카드인 '기후동행카드'를 비교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K-패스 카드
K패스 카드

목차

    k- 패스카드

    k-패스 란?

   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지원사업으로 대중교통비의  20~30%를 돌려받을 수 있는 알뜰 대중교통카드입니다. 기존 '알뜰교통카드'의 확대, 개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  24년 7월 시행하기로 했던 k-패스는 오는 5월부터 조기 시행될 예정입니다.

     

    케이패스 카드(K-패스)는 도보, 자전거 이동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환급해 주는 방식으로 국토교통부가 기후위기를 대응해 시행하는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입니다.

     

    K-패스의 장점 중 하나는 기후동행카드와 다르게 전국 모든 지자체에 도입되어 사용 가능 하다는 점 과 (단, 인구수 10만 명 이하의 일부 지자체는 제외) 지하철, 시내버스, 광역, 마을버스, 신분당선, gtx 등의 다양한 교통수단에 이용가능 하다는 점입니다.

     

    2024년 5월 시행. 

    전국 모든 지자체 도입 예정. 

    지하철, 시내버스, 광역버스, 마을버스, 신분당선, GTX 등 교통수단 이용 가능.

     

    할인 혜택

    그리고 무엇보다 궁금한 내용이 할인 혜택일 텐데요..

    케이패스(K패스)는 이용 횟수 월 15회~60회 이하에 한해 지하철, 버스등의 대중교통 이용 시 지출금액을 다음 달에 환급해 주는 방식입니다.

    환급률은 일반인 20%, 청년(19세~34세) 30%, 저소득층 53%으로 현금, 마일리지, 카드공제등으로 환급됩니다.

     

    이용 횟수:월 15회 이상~60회 이하.

     대상:일반인 :20%, 청년층 30%, 저소득층 53% 환급.

    환급 방법: 다음 달 현금, 마일리지, 카드공제 환급

    알뜰교통카드알뜰교통카드
    K패스K패스
    알뜰교통카드

    k패스 카드 신청 방법

    반응형

    k패스 카드 발급 방법은 기존의 사용하던 알뜰교통카드의 전환과 신규 발급이 있습니다.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는 k패스도입과 함께 폐지되고 k패스카드로 업그레이드되는 방식입니다.

    k-패스 카드전환 (기존 '알뜰교통카드' 사용자 )

   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카드 재발급 없이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회원 전환 절차를 통해  k패스로 사용가능합니다.(2월 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신규 발급

    신규 k패스 발급은 k패스가 시행되는 2024년 5월부터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발급신청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(누리집), 모바일 앱과 각 카드사(삼성, 신한, 농협, 국민, BC, 현대, 우리, 티머니 등) 누리집(홈페이지)에서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발급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  [카드사별 알뜰카드 비교]


    알뜰교통플러스 삼성카드

    삼성카드

    알뜰교통 신한카드


    신한카드


    kb국민 알뜰교통플러스 카드

    국민카드

    BC 바로 알뜰교통 플러스 카드

    BC카드

    현대카드Z work

    현대카드

    NH농협 알뜰교통카드

    NH농협카드

     

    기존 '알뜰교통카드'사용자는 K패스 카드로 전환(2월)

    신규 K패스 발급(5월)-알뜰교통 홈페이지, 모바일 앱, 카드사에서 발급 신청 가능

    k-패스카드 와 기후동행카드 비교

    기후동행카드는  '알뜰교통카드'인 하나로 서울시에서 24년 1월 27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대중교통 할인권입니다.

    1회 충전으로 30일간 지하철, 버스, 따릉이등 대중교통 으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알뜰 대중교통 정기권을 말합니다.

     

    서울시내의 대중교통 이용자라면 K패스와 기후동행 카드 중 할인율 혜택이 더 큰 교통카드를 꼼꼼히 따져보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

     

    구분 k-패스 기후동행카드
    대상 전국 대중교통 이용자 서울시내 대중교통 이용자

    지원내용 대중교통 15회~60회 이용시
    일반인20%,청년층(19세~34세)30%,
    저소득층 53% 환급
   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(월 65.000원)
    (따릉이 제외시  62.000원)
    이용 범위 전국
    (단,인구 10만명 이하 일부 지자체 제외)
    서울시내 대중교통 이용
    (4월부터 인천,김포 광역버스 참여 예정)
    기타 GTX-A,광역버스 이용 가능 신분당선,광역버스 버스 이용불가(일부 가능)
    한강 리버버스,따릉이 연

     

    반응형